[부동산 책 추천]집 없는 김대리에게 인서울 기회가 왔다.
결혼을 앞두고 있는 평범한 예랑이 입니다.
내 집 마련의 꿈을 가지고 있지만, 처음부터 무엇을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몰라서 당황스럽습니다.
그래서 떠올린 방법이 재테크-부동산 공부를 시작하기로 했습니다.
과연 저는 내집 마련의 꿈을 이룰수 있을까요!?
리디북스에서 무작정 "부동산" 키워드를 검색해봤습니다.
그 중에서 눈에 들어오는 책이 있었습니다.
제목이 꼭 저를 말하는 것 같았어요!
[집 없는 김대리(아직 사원이지만)에게 인서울(이왕이면 서울이 낫지!) 기회가 왔다]
이 책을 읽고 2가지를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.
1. 얼마나 빌릴 수 있는데? = LTV : Loan To Value
2. 감당할 수 있는 빚이야? = DTI : Debt To Income
#01. 보유자산 규모별로 구입할 수 있는 집값 한도를 계산해보자
LTV가 몇프로니 어쩌니 인터넷에 정보가 굉장히 많더라구요.
근데 저는 잘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. 😢
내가 가지고 있는 돈은 이정도인데... 도데체 얼마까지 제가 살 수 있을까요??
😤😤😤
책에서 속 시원하게 알려줬습니다.
보유자산 x LTV 비율에 따른 곱하기 = 내가 구입할 수 있는 집값의 한도!
저희 부부가 가지고 있는 보유현금(1억)+전세보증금(2억) + 신용대출(2억) 등
총 가용 금액은 약 5억원 정도 됩니다.
지금 서울은 투기지역으로 지정되었고, 무주택 세대의 경우 LTV는 40% 입니다.
따라서, 5억원 x 1.66 = 8.3억원까지 구입 가능하고, 담보대출액은 3.32억원이 됩니다.
#02. 감당할 수 있겠소?? 계산해보자 DTI
구입할 수 있는 한도를 알아봤는데요!
그런데, 8.3억원의 집을 구입하는데, 제 현금은 3억원(현금+전세보증금)밖에 안들었네요?
나머지 5.3억원의 대출은 어떡하죠? 😨😨😨
제가 감당할 수 있을까요??
이럴 때 알아보는 것이 바로 DTI 입니다.
DTI = (모든 주택담보대출의 연간 원리금 +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의 연간이자) ÷ 연간소득
1. 주택담보대출 연간 원리금 구해보기
3.32억원을 연 이자율 3%로 30년간 원리금균등 상환방법으로 주택담보대출을 했을 때,
연간 원리금은 얼마일까요??
연간 원리금 = 총 상환금액 ÷ 대출기간(연) = 503,901,141 ÷ 30 = 16,796,704
2. 신용 대출 등 기타 대출의 연간이자 구해보기
1억원을 연 이자율 2.5%로 1년동안 만기일시 상환방법으로 신용대출을 했을 때의 연간이자는??
총 대출 이자 = 대출원금 * 연이자율 = 100,000,000 * 0.025 = 2,500,000
하.지.만
책에서는 한국은행이 매월 발표하는 '예금은행 가중평균 가계대출금리(잔액기준) + 1%' 의 연이자율을 곱해서 DTI용 연간 이자액을 산출한다고 하네요!! 😑😑😑
따라서, 신용대출의 DTI용 연간 이자액은 2020.04 기준 3.76% + 1% 인 4.76% 으로 계산합니다.
그러면 100,000,000 * 0.0476 = 4,760,000
따라서
저의 DTI는!
DTI = ( 16,796,704 + 4,760,000 ) ÷ 70,000,000 = 0.3079 .... 30.8% 입니다!!
이는 서울 등 강한 규제지역에서 가장 엄격하게 적용되는 DTI 비율인 40%보다 10%포인트 낮은거죠!!!
저는 대한민국이 인증한 건전한 대출입니다!! (작가의 표현을 빌렸어요 😁😁😁😁😁)
다행히 저는 감당할 수 있네요
그래서 결론!!
저희 가계에서는 현금 3억원만 있으면 8.3억원까지 집을 구입할 수 있으며
저의 작년 소득 7000만원 기준으로 DTI는 30%인 아주 건전한 대출입니다!!
(대신 저희 부부의 이자+원금상환은 매달 180만원씩 나가네요 ㅠㅠㅠㅜㅠㅠ)
이상으로
"집 없는 김대리에게 인서울 기회가 왔다"를 읽은 후기였습니다!!!
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~!